開発依頼 #5459
RCLS 歯科用サポート閲覧アカウント作成依頼
상태: | 終了 | 시작시간: | 2024/11/18 | |
---|---|---|---|---|
우선순위: | 通常 | 완료기한: | ||
담당자: | 小門 亜優美 | 진척도: | 100% | |
범주: | - | 소요 시간: | - | |
목표버전: | - | |||
システム: | RC-LS クラウド |
설명
サポートデスクで使用する、歯科用サポート閲覧アカウントを作成してほしいです。
よろしくお願いいたします。
-------------------------
서포트 데스크에서 사용할 치과용 서포트 열람 계정을 작성해 주셨으면 합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이력
#2 朴 鎬秀이(가) 8달 전에 변경
- 상태을(를) 新規에서 フィードバック(으)로 변경되었습니다.
- 담당자을(를) 朴 鎬秀에서 森口 愛子(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치과 서포트 계정 입니다.
[RC-LS]
userid: rclsTenken3 (passwd는 rclsTenken과 동일합니다.)
의료기관코드: 3123456 基本運営医院(歯)
고객번호 :ls33123456
[Checkeye]
userid: dxsupport3 (passwd는 dxsupport와 동일합니다.)
의료기관코드: 5555553 DXCAREクリニック(歯)
고객번호 :ls35555553
#4 朴 鎬秀이(가) 8달 전에 변경
- 파일에 #5459-rclsTenken3 login.png이(가) 추가되었습니다.
- 담당자을(를) 朴 鎬秀에서 森口 愛子(으)로 변경되었습니다.
#3에서 적어주신 id /pass 로그인 문제 없습니다.
로그인후 screen capture 첨부 합니다.
#6 朴 鎬秀이(가) 8달 전에 변경
- 담당자을(를) 朴 鎬秀에서 森口 愛子(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접속 로그인 방법은 2가지가 있는것은 아시지요?
고객은 AWS인증후 접속 하여 사용하며(https://owlstart.owl-checker.com)
서포트센터와 저희 개발팀에서는 DB인증(id/pass) 방식으로 접속해 지원 합니다.(https://rc.owl-checker.com/owl/init.mics)
@森口 愛子さん은 어떠한 방식으로 접속 하였고 어떤 오류가 나는가요?
#7 小門 亜優美이(가) 8달 전에 변경
- 상태을(를) フィードバック에서 解決(으)로 변경되었습니다.
- 진척도을(를) 0에서 100(으)로 변경되었습니다.
朴さん
2つあることは知りませんでした。
いつも通り、https://owlstart.owl-checker.com でログインした時に、ID・パスワードが違います。と
メッセージが出て、ログインできない状態でした。
教えて頂いた https://rc.owl-checker.com/owl/init.mics でログインが出来ました。
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
#8 小門 亜優美이(가) 8달 전에 변경
- 상태을(를) 解決에서 フィードバック(으)로 변경되었습니다.
- 담당자을(를) 森口 愛子에서 朴 鎬秀(으)로 변경되었습니다.
朴さん
歯科アカウント、適応症修正の画面で歯科の診療行為を検索した時に、対象の診療行為が出てきませんでした。
Admin顧客管理画面を確認したところ、
医療機関情報のところが「医科」にチェックが入っていました。
点数表は「歯科」が選択されているのですが、医療機関情報が「医科」のため、歯科診療行為が出てこないのでしょうか?
------------
박 씨
치과 계정, 적응증 수정 화면에서 치과 진료 행위를 검색했을 때 대상 진료 행위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Admin 고객 관리 화면을 확인한 결과,
의료기관 정보 부분이 '의과'에 체크가 되어 있었습니다.
점수표는 '치과'가 선택되어 있는데, 의료기관 정보가 '의과'이기 때문에 치과 진료 행위가 나오지 않는 것일까요?
#10 朴 鎬秀이(가) 8달 전에 변경
- 파일에 #5459-歯科診療行為適応症関連.xlsx이(가) 추가되었습니다.
- 담당자을(를) 朴 鎬秀에서 小門 亜優美(으)로 변경되었습니다.
고객생성시 DB에서 정보를 복제하여 생성하였기 때문에 치과 의료기관코드가 의과에 들어가 버렸습니다.(혼란을 드려 미안 합니다)
다시 치과의료기관에 코드에 수정하여 정상적으로 적응증에서 치과 진료행위를 조회 할수 있었습니다.
다만 해당 치과진료행위에 해당하는 체크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적응증은 나타나지 않는것 같습니다.
첨부 파일 확인 바랍니다.